한국무용의 특징과 발전역사 업로드
[목차]
또한, 장단과 반주음악에 변화성이 있고, 춤가락이 다양하여 리듬을 느낄 수 있는 맛을 준다. 대개 춤 구성이 느린 데서부터 빠른 가락으로 변화화며, 민속화처럼 순수한 천연색감을 주며 즐거움을 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하겠다.
3. 한국 무용의 발전 역사
(1) 고대사회
자연의 맹위, 죽음이나 기아 등의 재앙과 액운을 무사히 넘기고 풍요를 기원하는 집단적인 제사의식에서 그 모습을 찾아 볼 수 있으며, 음악이나 미술 등과 분화되지 않은 채 가무(歌舞) 형태로 행해졌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의하면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 동예의 무천(舞天)과 해마다 5월과 10월 2차례에 걸쳐 행해진 삼한의 제천행사에서 하늘에 제사지내고 성원(成員)들이 모여 함께 노래하고 춤추었다고 한다. 이러한 의식은 지방마다 특색있는 음악과 춤을 낳게 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삼한 5월제의 경우 무리를 지 춤추기도 하고 수십 명이 같이 일어나 서로 따르며 땅을 밟고 발을 올리며 아울러 손과 발이 이에 상응하는 가무를 즐기기도 하였는데, 이는 오늘날 강강술래와 직결되는 춤동작이다. 이 시기 무용은 공동체 활동을 통해 춤과 음악․제의(祭儀) 등이 한데 얽힌 하나의 종합예술로 나타났으며 여기서 한국무용의 원초적인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
(2) 삼국시대
가야금이나 거문고, 노래 반주에 맞춰 추는 형태, 민간에서의 집단적 가무형태, 백희가무(百戱歌舞)와 같은 기예(技藝)형태 그리고 무격의식과 관련된 춤형태 등이 삼국에 걸쳐 공통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