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측정 다운
[목차]
_SLIDE_1_
COD의 측정
_SLIDE_2_
개 요
실험 목적
실험 원리
실험 이론
실험 방법
실험 시 주의사항
참고자료
_SLIDE_3_
실험 목적
COD의 의미 이해
COD를 측정하는 법
과망간산칼륨을 이용한 역적정으로 측정
_SLIDE_4_
실험 원리
역적정법
과망간산칼륨
오염물질
오염물질을 분해 후 남은 과산화망간 양 측정
☞ 남은 과산화망간 양을 통해 오염물질을 이산화탄소와 물로 산화시키는데 필요한 총 산소의 양을 구하여 COD 측정.
_SLIDE_5_
실험 이론
DO (용존산소량)
- 물 or 용액 속에 녹아 있는 분자상태의 산소의 양
BOD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 호기성 미생물이 일정 기간 동안 물속에 있는 유기물을 분해할 때 사용하는 산소의 양
COD (화학적 산소 요구량)
- 수중에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키기 ...
COD의 측정
개 요
실험 목적
실험 원리
실험 이론
실험 방법
실험 시 주의사항
참고자료
실험 목적
COD의 의미 이해
COD를 측정하는 법
과망간산칼륨을 이용한 역적정으로 측정
실험 원리
역적정법
과망간산칼륨
오염물질
오염물질을 분해 후 남은 과산화망간 양 측정
☞ 남은 과산화망간 양을 통해 오염물질을 이산화탄소와 물로 산화시키는데 필요한 총 산소의 양을 구하여 COD 측정.
실험 이론
DO (용존산소량)
- 물 or 용액 속에 녹아 있는 분자상태의 산소의 양
BOD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 호기성 미생물이 일정 기간 동안 물속에 있는 유기물을 분해할 때 사용하는 산소의 양
COD (화학적 산소 요구량)
- 수중에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산소의 양
COD 측정방법
과망간산칼륨에 의한 적정
검수(하수 or 폐수) + 황산 → 산성용액
과망간산칼륨과 반응
남은 과망간산칼륨 측정
COD = (b-a)×f×(1000/v)×0.2 (ppm)
b : 적정에 필요한 N/40 과산화망간 표준액[mL]
a : 공시험의 적정에 필요했던 N/40 과산화망간 표준액[mL]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