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문화, 관광자원을 통한 지역경제활성화 다운로드
[목차]
Ⅱ-Ⅰ. 전북 지역 문화·관광자원의 개발 필요성
㉮ 문화·관광자원의 개념 및 정의
㉯ 문화·관광자원의 경제적 파급효과
㉰ 전북지역 문화·관광자원의 비교우위
Ⅱ-Ⅱ. 전북지역 문화·관광자원 현황
㉮ 문화관광산업 현황
㉯ 문화자원 현황
㉰ 관광자원 현황
㉮ 관광인프라의 미흡
㉯ 문화자원의 산업화 부진
㉮ 수요자 지향적 관광인프라 확충
㉯ 문화자원을 활용한 관광상품 개발
㉰ 적극적인 홍보
Ⅲ. 결론
* 요약
* 본 연구의 의의
* 유의점
주요 기관의 자료실에서 자료를 찾아보고 지역 신문을 읽어가며 요즘 문화, 관광 산업과 관련 있는 부분을 참고하였다. 또한 자료실에서 찾은 자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로 그러한 문화, 관광 자원이 얼마나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인가 직접 판단해 보기 위해 현지답사를 통하여 직접 그것을 조사해 보았다.
-연구지역-
전북지역의 관광자원과 문화자원이 풍부한 지역, 그 중에서도 특히 전주지역을 중심으로 조사함.
Ⅱ. 본론
Ⅱ-Ⅰ.전북 지역 문화·관광자원의 개발 필요성
㉮ 문화·관광자원의 개념 및 정의
* 사전적 의미로서 “문화관광자원은 유적, 유물, 전통공예, 예술 등이 보존되거나 스며드는 지역 또는 사람의 풍요로웠던 과거에 초점을 두고 관광하는 행위이다.”라고 정의되어 있으며, 계획적인 전략으로서 “문화관광자원은 지방과 국가복지, 기업체 그리고 환경요건과 관광객의 욕구와 균형을 맞추면서 일상적 또는 충동적 의사결정을 통해 그 지방주민과 방문객을 위해 풍요로운 환경을 창출하기 위하여 시도되기도 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 세계관광기구(WTO)에서는 “문화관광자원은 유적지와 기념물을 찾아가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예는 영국의 성당, 이집트의 피라미드, 필라델피아의 독립기념관, 중국의 궁궐을 방문하는 것 등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의는 가장 일반적인 문화관광자원에 대한 표현이며 최근의 새로운 문화관광자원에 대한 개념정립을 하는데 바탕이 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