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장, 수렵과 채취 또는 어로를 통하여 얻은 음식물 중 남는 것은 부패되어 그냥 버릴 수밖에 없었다.zip [목차] Ⅰ.10) Ⅲ.hwp 가공식품의 이해.2) 3. 서 론 (p.hwp 가공식품의 이해.hwp 가공식품의 이해.hwp.4~5) (3) 황새기젓 (p.9~10) 4.hwp 가공식품의 이해. 이렇듯 젓갈은 예로부터 반찬으로도 올랐으며, 육포 등과 함께 젓갈이 나오며, 오늘날 젓갈의 의미로 해석되는 `해(醢), 이것이 인류가 젓갈발효식품을 만들게 된 유래가 되었다. , 지(指), 궁중 뿐 아니라 일반 민가의 크고 작은 제사상에도 올랐다.6) (5) 굴 젓 (p.1) Ⅱ.hwp 가공식품의 이해.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가공식품의 이해.「농가월령가」8월령에 ꡒ북어쾌 젓조기로 추석명일 쇠어보세.5~6) (4) 오징어젓 (p. 본 론 (p. 젓갈의 역사 젓갈은 인도, 태국 등 비교적 더운 지방에서 유래했다. 버려진 음식물은 자연상태에서 발효되면서 또 다른 풍미와 맛을 지닌 음식물이 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고,, 자`등의 문자가 나타나며 5세기경에 저술된 제민요술(齊民要 ......
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가공식품의 이해.hwp 문서 (열기).zip
[목차]
Ⅰ. 서 론 (p.1)
Ⅱ. 본 론 (p.1~10)
1. 젓갈의 역사 (p.1)
2. 젓갈의 제조원리 (p.2)
3. 젓갈의 종류 및 분류 (p.2~10)
(1) 멸 치 젓 (p.2~4)
(2) 새 우 젓 (p.4~5)
(3) 황새기젓 (p.5~6)
(4) 오징어젓 (p.6)
(5) 굴 젓 (p.7)
(6) 성 게 젓 (p.7)
(7) 창 란 젓 (p.8)
(8) 명 란 젓 (p.8~9)
(9) 가자미식해 (p.9~10)
4. 젓갈의 영양 (p.10)
Ⅲ. 결 론 (p.11)
1. 젓갈의 역사
젓갈은 인도, 베트남, 태국 등 비교적 더운 지방에서 유래했다. 이들 지방에서는 더운 기후 때문에 음식의 저장이 쉽지 않았고, 수렵과 채취 또는 어로를 통하여 얻은 음식물 중 남는 것은 부패되어 그냥 버릴 수밖에 없었다. 버려진 음식물은 자연상태에서 발효되면서 또 다른 풍미와 맛을 지닌 음식물이 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고, 이것이 인류가 젓갈발효식품을 만들게 된 유래가 되었다.
오랜 시행착오를 거쳐 농업이 주류이던 지방에서는 콩을 발효시킨 장류와 같은 발효식품이, 수산물이 주류이던 해안가에선 젓갈발효 식품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최초의 젓갈에 대한 기록은 B.C 3-5세기경에 발간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아(爾雅)라는 중국의 고사전에 지(指)자가 나오는데, 이것은 `생선으로 만든 젓갈`이란 의미로 해석된다. 또한 기원전 3세기경에 쓰여진 주례(周禮)에 산동성의 게젓이 나오며, 오늘날 젓갈의 의미로 해석되는 `해(醢), 지(指), 자`등의 문자가 나타나며 5세기경에 저술된 제민요술(齊民要術)에는 몇몇 젓갈의 제법 및 계절에 따른 숙성기간까지 명시되어 있어 동시대에 젓갈이 널리 식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젓갈에 관한 최초의 문헌 기록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신라 신문왕이 왕비를 맞는 폐백 품목에 쌀, 술, 간장, 된장, 육포 등과 함께 젓갈이 나오며, 중국 송나라 사람이 고려를 보고 쓴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세민이 바다에서 나는 식품을 많이 먹는다. 그 맛이 짜고 비린내가 나지만 오랫동안 먹으면 먹을 만하다`는 기록이 나와 있다. 이렇듯 젓갈은 예로부터 반찬으로도 올랐으며, 궁중 뿐 아니라 일반 민가의 크고 작은 제사상에도 올랐다.「농가월령가」8월령에 ꡒ북어쾌 젓조기로 추석명일 쇠어보세.ꡓ라는 대목으로 미루어 추석 차례상에도 올랐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반찬과 김장용으…(생략)
가공식품의 이해.hwp 가공식품의 이해.hwp 가공식품의 이해.hwp 가공식품의 이해.hwp 가공식품의 이해.hwp 가공식품의 이해.hwp 가공식품의 이해.hwp 가공식품의 이해.hwp 가공식품의 이해.hwp
가공식품의 PP 가공식품의 이해 이해 PP PP 자료 자료 자료 가공식품의 이해
젓갈의 종류 및 분류 (p. 젓갈의 종류 및 분류 (p.hwp 가공식품의 이해.6) (5) 굴 젓 (p.hwp 가공식품의 이해.hwp.1) Ⅱ.hwp 가공식품의 이해. 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XH . 이렇듯 젓갈은 예로부터 반찬으로도 올랐으며, 궁중 뿐 아니라 일반 민가의 크고 작은 제사상에도 올랐다. wp 가공식품의 이해. 젓갈의 역사 (p. 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XH .1~10) 1.9~10) 4. 본 론 (p.「농가월령가」8월령에 ꡒ북어쾌 젓조기로 추석명일 쇠어보세.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가공식품의 이해..hwp 가공식품의 이해. 그 맛이 짜고 비린내가 나지만 오랫동안 먹으면 먹을 만하다`는 기록이 나와 있다.11) 1. 서 론 (p. 오랜 시행착오를 거쳐 농업이 주류이던 지방에서는 콩을 발효시킨 장류와 같은 발효식품이, 수산물이 주류이던 해안가에선 젓갈발효 식품으로 탄생하게 되었다.7) (7) 창 란 젓 (p.2) 3.5~6) (4) 오징어젓 (p. 젓갈의 제조원리 (p.2~4) (2) 새 우 젓 (p.hwp 가공식품의 이해. 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XH .. 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XH . 이들 지방에서는 더운 기후 때문에 음식의 저장이 쉽지 않았고, 수렵과 채취 또는 어로를 통하여 얻은 음식물 중 남는 것은 부패되어 그냥 버릴 수밖에 없었다.10) Ⅲ. 버려진 음식물은 자연상태에서 발효되면서 또 다른 풍미와 맛을 지닌 음식물이 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고, 이것이 인류가 젓갈발효식품을 만들게 된 유래가 되었다.4~5) (3) 황새기젓 (p.hwp 가공식품의 이해.hwp 가공식품의 이해.hwp 가공식품의 이해.11) 1.1) 2.2~10) (1) 멸 치 젓 (p. 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XH . 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XH .2~10) (1) 멸 치 젓 (p. 젓갈의 영양 (p.hwp 가공식품의 이해. 우리나라에서의 젓갈에 관한 최초의 문헌 기록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신라 신문왕이 왕비를 맞는 폐백 품목에 쌀, 술, 간장, 된장, 육포 등과 함께 젓갈이 나오며, 중국 송나라 사람이 고려를 보고 쓴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세민이 바다에서 나는 식품을 많이 먹는다. 젓갈의 역사 (p.zip [목차] Ⅰ.1) 2.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가공식품의 이해.7) (6) 성 게 젓 (p.hwp 문서 (열기). 결 론 (p.8) (8) 명 란 젓 (p. 우리나라에서의 젓갈에 관한 최초의 문헌 기록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신라 신문왕이 왕비를 맞는 폐백 품목에 쌀, 술, 간장, 된장, 육포 등과 함께 젓갈이 나오며, 중국 송나라 사람이 고려를 보고 쓴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세민이 바다에서 나는 식품을 많이 먹는다.10) Ⅲ.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XH .9~10) 4. 젓갈의 제조원리 (p.hwp.2~4) (2) 새 우 젓 (p..7) (7) 창 란 젓 (p. 결 론 (p.「농가월령가」8월령에 ꡒ북어쾌 젓조기로 추석명일 쇠어보세.hwp 가공식품의 이해.4~5) (3) 황새기젓 (p. 현재는 반찬과 김장용으…(생략) 가공식품의 이해. 젓갈의 역사 젓갈은 인도, 베트남, 태국 등 비교적 더운 지방에서 유래했다.hwp 가공식품의 이해. 버려진 음식물은 자연상태에서 발효되면서 또 다른 풍미와 맛을 지닌 음식물이 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고, 이것이 인류가 젓갈발효식품을 만들게 된 유래가 되었다.C 3-5세기경에 발간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아(爾雅)라는 중국의 고사전에 지(指)자가 나오는데, 이것은 `생선으로 만든 젓갈`이란 의미로 해석된다. 그 맛이 짜고 비린내가 나지만 오랫동안 먹으면 먹을 만하다`는 기록이 나와 있다. 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XH .hwp 가공식품의 이해. 또한 기원전 3세기경에 쓰여진 주례(周禮)에 산동성의 게젓이 나오며, 오늘날 젓갈의 의미로 해석되는 `해(醢), 지(指), 자`등의 문자가 나타나며 5세기경에 저술된 제민요술(齊民要術)에는 몇몇 젓갈의 제법 및 계절에 따른 숙성기간까지 명시되어 있어 동시대에 젓갈이 널리 식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원전 3세기경에 쓰여진 주례(周禮)에 산동성의 게젓이 나오며, 오늘날 젓갈의 의미로 해석되는 `해(醢), 지(指), 자`등의 문자가 나타나며 5세기경에 저술된 제민요술(齊民要術)에는 몇몇 젓갈의 제법 및 계절에 따른 숙성기간까지 명시되어 있어 동시대에 젓갈이 널리 식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론 (p. 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XH .8) (8) 명 란 젓 (p. 젓갈의 역사 젓갈은 인도, 베트남, 태국 등 비교적 더운 지방에서 유래했다.1~10) 1.ꡓ라는 대목으로 미루어 추석 차례상에도 올랐던 것으로 보인. 오랜 시행착오를 거쳐 농업이 주류이던 지방에서는 콩을 발효시킨 장류와 같은 발효식품이, 수산물이 주류이던 해안가에선 젓갈발효 식품으로 탄생하게 되었다.8~9) (9) 가자미식해 (p.5~6) (4) 오징어젓 (p. 이들 지방에서는 더운 기후 때문에 음식의 저장이 쉽지 않았고, 수렵과 채취 또는 어로를 통하여 얻은 음식물 중 남는 것은 부패되어 그냥 버릴 수밖에 없었다. 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XH .hwp 가공식품의 이해. 젓갈의 영양 (p.hwp 가공식품의 이해. 최초의 젓갈에 대한 기록은 B.ꡓ라는 대목으로 미루어 추석 차례상에도 올랐던 것으로 보인 wp 가공식품의 이해.1) Ⅱ. 최초의 젓갈에 대한 기록은 B.6) (5) 굴 젓 (p.8~9) (9) 가자미식해 (p. 서 론 (p.zip [목차] Ⅰ.hwp 문서 (열기). 현재는 반찬과 김장용으…(생략) 가공식품의 이해. 이렇듯 젓갈은 예로부터 반찬으로도 올랐으며, 궁중 뿐 아니라 일반 민가의 크고 작은 제사상에도 올랐다.2) 3. 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XH . 가공식품의 이해 자료 XH .C 3-5세기경에 발간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아(爾雅)라는 중국의 고사전에 지(指)자가 나오는데, 이것은 `생선으로 만든 젓갈`이란 의미로 해석된다.7) (6) 성 게 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