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행렬이론을 통한 광센서 에스컬레이터의 경제성 분석 보고서
[목차]
주 제 선 정
사 례 선 정
분석에 앞선 가정
비 용 분 석
기존의 가동방식에 따른 idle time의 발생
결 론 : 광센서 에스컬레이터의 경제성 분석
3. 분석에 앞선 가정
지하철 역의 시간대별 이용 인구 분포 자료는 서울 도시 철도 공사를 통해 수집한 개찰구 통과 시간 자료를 이용하였다. 우리는 개찰구를 통과한 승객이 모두 동일한 동선, 동일한 이동 속도로 에스컬레이터에 도달한다는 가정을 수립하였다. 즉 에스컬레이터 이용 서비스를 받기 위한 출발점인 에스컬레이터 앞에 도착하는 이용객 분포를 개찰구 통과 시간 분포 자료로 대체해서 사용했다.
에스컬레이터의 가동을 상행(아래층에서 윗층으로 운행)과 하행(윗층에서 아래층으로 운행)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에스컬레이터의 하행선 이용 분포는 (M, M, ∞) 모델을 적용하기로 한다.
에스컬레이터 하행선을 이용하는 승객의 도착시간은 포아송 분포라고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에스컬레이터의 서비스 시간은 지수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였다. 이것은 컨베이어 벨트 위의 물체의 서비스 시간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M,G,1)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출퇴근 시간 등 사람들이 몰리는 시간대에는 일반적으로 움직이는 에스컬레이터 안에서도 사람들이 우측 한 줄은 서고, 좌측 한 줄은 걷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이용객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오후 시간대라고 할지라도, 에스컬레이터 안에서 가만히 서 있는 사람과, 빠르게 걸어가는 사람, 걷다가 섰다가 다시 걷다가 서는 것을 반복하는 사람 등 개개인의 행동 유형과 각자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시간을 보이기 때문에 서비스 시간을 지수 분포로 가정하였고, 실제로 가만히 서서 측정한 서비스 시간 33초보다 작은 30초를 평균 서비스 이용 시간이라 하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