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모더니즘은 역사학의 종말인가」 ꡔ역사비평ꡕ 1999년 봄호 이 글들에 의하면 포스트모더니즘 사학은 근대 역사학의 기초가 되어 왔던 모더니즘 자체를 비판하는 데에서 출발한다.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즉 거시적 역사학보다는 미시적 역사학을 추구한다.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 사학의 수용을 주장하는 이들은 역사가들은 이제 “진리를 보여주마”라고 외치는 대신, 모든 사실은 역사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사학은 ‘구조’나 ‘전체’보다는 ‘문화’나 ‘부분’에 더 관심을 둘 것을 강조한다.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이태진, 「한국사학의 모더니즘으로부터의 탈출」 ꡔ한국사시민강좌ꡕ 제20집, 가치의 절대성, 지식의 보편성 대신 해석의 ......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자료 (압축파일).zip
3)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한국근대사학에서 한국사를 발전적 시각에서 보려한 것은 기본적으로 모더니즘의 영향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일제하의 맑시즘 사학이나 해방이후의 내재적 발전론 등은 기본적으로 모더니즘의 영향하에 있었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최근 한국사학계에도 이에 대한 비판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 사학론이 서서히 대두하고 있다.
최근 한국의 역사학계에도 이에 관한 몇 편의 글이 있고, 이 가운데는 포스트모더니즘을 한국사학에 도입할 것을 주장하는 글도 있다. 이태진, 「한국사학의 모더니즘으로부터의 탈출」 ꡔ한국사시민강좌ꡕ 제20집, 1997
김 호, 「한국사의 새로운 모색과 포스트 모더니즘」 ꡔ한국사시민강좌ꡕ 제21집, 1997
김현식, 「포스트 모더니즘은 역사학의 종말인가」 ꡔ역사비평ꡕ 1999년 봄호
이 글들에 의하면 포스트모더니즘 사학은 근대 역사학의 기초가 되어 왔던 모더니즘 자체를 비판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즉 이성을 신봉하는 계몽주의, 근대성을 신봉하는 근대주의로부터 벗어날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사학은 ‘구조’나 ‘전체’보다는 ‘문화’나 ‘부분’에 더 관심을 둘 것을 강조한다. 즉 거시적 역사학보다는 미시적 역사학을 추구한다. 또 이 역사학은 객관적 사실을 부정하고, 모든 사실은 역사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 그리고 기존의 역사가가 말과 글로 이루어진 것만을 텍스트로 간주한 데 반하여, 포스트모더니즘 역사학자들은 말과 글 외에도 기호·표상·상징 등 문화적 관습을 포함한 모든 인공물을 텍스트로서 간주한다. 이 텍스트는 단일한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多義的이고 多聲的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그들은 ‘해체’(deconstruction) 개념에 주목하여 과거의 脫神話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 사학의 수용을 주장하는 이들은 역사가들은 이제 “진리를 보여주마”라고 외치는 대신, “모든 해석은 잘못된 것이다”를 되뇌임으로써 텍스트의, 지식의, 진리의 다양함을 그 극까지 체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해석의 단일성, 가치의 절대성, 지식의 보편성 대신 해석의 무한성, 가치의 역사성, 지식의 지역성을 찬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다운받기 성과와 다운받기 XA 한국 반성 한국 반성 한국 성과와 사학의 20세기 사학의 사학의 XA 다운받기 20세기 20세기 XA 반성 성과와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CW ..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CW . 그러나 최근 한국사학계에도 이에 대한 비판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 사학론이 서서히 대두하고 있다.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CW .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사학은 ‘구조’나 ‘전체’보다는 ‘문화’나 ‘부분’에 더 관심을 둘 것을 강조한다.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이태진, 「한국사학의 모더니즘으로부터의 탈출」 ꡔ한국사시민강좌ꡕ 제20집, 1997 김 호, 「한국사의 새로운 모색과 포스트 모더니즘」 ꡔ한국사시민강좌ꡕ 제21집, 1997 김현식, 「포스트 모더니즘은 역사학의 종말인가」 ꡔ역사비평ꡕ 1999년 봄호 이 글들에 의하면 포스트모더니즘 사학은 근대 역사학의 기초가 되어 왔던 모더니즘 자체를 비판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CW .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CW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CW .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CW . 즉 거시적 역사학보다는 미시적 역사학을 추구한다.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CW .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CW . 일제하의 맑시즘 사학이나 해방이후의 내재적 발전론 등은 기본적으로 모더니즘의 영향하에 있었다고 할 것이다. 또 이 역사학은 객관적 사실을 부정하고, 모든 사실은 역사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 이 텍스트는 단일한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多義的이고 多聲的인 것으로 간주된다. 해석의 단일성, 가치의 절대성, 지식의 보편성 대신 해석의 무한성, 가치의 역사성, 지식의 지역성을 찬양해야 한다는 것이 언덕 폭풍.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CW .zip 3)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한국근대사학에서 한국사를 발전적 시각에서 보려한 것은 기본적으로 모더니즘의 영향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hwp.hwp 자료 (압축파일).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 사학의 수용을 주장하는 이들은 역사가들은 이제 “진리를 보여주마”라고 외치는 대신, “모든 해석은 잘못된 것이다”를 되뇌임으로써 텍스트의, 지식의, 진리의 다양함을 그 극까지 체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이성을 신봉하는 계몽주의, 근대성을 신봉하는 근대주의로부터 벗어날 것을 요구한다.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CW .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hwp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20세기 한국 사학의 성과와 반성 다운받기 CW . 그리고 그들은 ‘해체’(deconstruction) 개념에 주목하여 과거의 脫神話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의 역사가가 말과 글로 이루어진 것만을 텍스트로 간주한 데 반하여, 포스트모더니즘 역사학자들은 말과 글 외에도 기호·표상·상징 등 문화적 관습을 포함한 모든 인공물을 텍스트로서 간주한다. 최근 한국의 역사학계에도 이에 관한 몇 편의 글이 있고, 이 가운데는 포스트모더니즘을 한국사학에 도입할 것을 주장하는 글도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