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와 대중문화 Down
 



[목차]

☺ 문화와 광고

1. 문화란?

2. 문화에 대한 정의

3. 문화의 구별

4.문화와 광고

    1) 문화결정론

    2)광고결정론

☺ 광고와 대중문화
1. 대중문화란?
2. 각 시대별 대중문화와 광고
1)1960년대
2)1970년대

    3)1980년대

    4)1990년대

    5)2000년대

☺ 광고와 대중문화 커뮤니케이션
1. 광고와 대중문화의 커뮤니케이션
2. 광고와 대중문화의 관계
☺ 결론




☺ 광고와 대중문화

1.대중문화란?
-말 그대로 대중 사회를 기반으로 성립되는 문화가 대중문화이다. 그렇치만 대 중사회에서 어느 정도 인을 받아야지만 대중문화라 불릴 수 있다.

2. 각 시대별 대중문화와 광고

① 1960년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알리기만 하면 팔리던 시대로, 대 다수의 광고는 신상품 정보를 `고지`하는 수준에 불과했으나, 일부 물리적 편익 외에 심리적 편익을 제시하는 형태의 광고가 제작됨으로써, `설득`을 위 한 근대적인 형태의 광고가 등장한다. 당시 산업자본주의가 자리 잡게 되면 서, 부유층 및 빈곤층과 같은 계층의식이 형성되고 있음을 광고에서도 엿볼 수 있다.

<60년대의 광고의 예>
1) CM송 사용 - 진로소주
2) 이유식 광고 - 비락. 비오비타등...
3) 애니메이션사용 - 진로소주의 두꺼비, 닭표간장의 닭미오와 꼬끼오,
금성의 트란지스타등..

②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이 전국을 휩쓸고, 의식개혁운동이 펼쳐지던 시기였다. ``가슴 부푸는 비전이 있습니다.` `새아침을 여는 국민들의 활기찬 모습에서 번영의 내일을 봅니 다` 같은 메시지의 광고를 통해 경제개발 계획 무드와 함께 사회 전체를 메우는 격동적인 움직임을 읽을 수 있다. 또한 `둘러보면 밝은 모습들, 만나보면 좋은 사 람들, 사람들이 좋다 OB가 좋다` 등과 같이 희망에 찬 표현의 광고를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시대】→ CM송과의 광고전쟁

<광고의 예>
1) 빙그레
2) 롯데 껌
3) 해태 브라보콘
4) 오리온 줄줄이 사탕
5) 오란씨


 

광고와 대중문화_5057362.hwp 광고와 대중문화_5057362.hwp 광고와 대중문화_5057362.hwp 광고와 대중문화_5057362.hwp 광고와 대중문화_5057362.hwp 광고와 대중문화_5057362.hwp 광고와 대중문화_5057362.hwp 광고와 대중문화_5057362.hw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제목
광고와 대중문화 Down EK
맨유,맨체스터유나이티드,스포츠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다운 WU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세계의정치와경제 기말시험과제물)지구적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많은 지역에서 식량부족으로 인한 기아 문제가 심각하다 다음 추천도서를 읽고 이러한 식량 문제를 묘사하고 대안에 관한 자기 생각을 서술하시오 Report XL
청소년 이해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계획서 다운로드 VD
(만2세 1년치 관찰일지) 6개영역 관찰일지, 공공형 어린이집 관찰일지 다운로드 SH
공존과 화해의 한국현대사 독후감 등록 CA
avocado UR
avocado SQ
PED 케이스 스터디 -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Report DG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척추 골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자료실 자료 AB
avocado VV
(사람엔터테인먼트 자기소개서 사람엔터테인먼트(홍보팀) 샘플 자소서 사람엔터테인먼트채용첨삭항목 자료실 Up QH
부산항만공사 자기소개서 자소서 자료 CF
너의 내면을 검색하라 독후감 감상문 서평 차드 멍 탄 Down KP
지역사회복지 실천관련 가치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이며, 왜 그런지에 대하여 사례를 들어 기술하시오. 등록 OM
avocado CS
avocado UW
행정학의 공공선택이론, 신제도론, 신공공관리론, 거버넌스 및 뉴거버넌스에 대한 조사 Report IH
이자겸의 난 다운받기 ZJ
정신건강론-인구 고령화 시대에서 전체 노인인구의 5%가 치매로 고생하고 있는 현실에서 노인 본인은 물론 가족까지도 힘겨운 생활을 감당 12 레폿 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