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올립니다 2023 사회학개론 과제자료 다운받기
사회학개론 : 인간과 사회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기능주의와 갈등론을 비교 설명하고 사례를 들어 자신의 관점을 논술하시오.
1. 워렌이 제시한 지역사회의 5가지 기능을 서술
워렌은 지역사회복지론을 논하는 데 있어 빠질 수 없는 학자이다. 좋은 지역사회의 조건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기능을 5가지로 나누어 설명한 공이 있기 때문이다. 지역사회의 기능 다섯 가지를 이해하기에 앞서 지역사회의 정의를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집단을 모르고 집단의 기능을 알려 하는 것이 터무니없는 것처럼 지역사회를 모르고 지역사회의 기능을 알려 하는 것 또한 터무니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지역사회는 영어로 community이다. 이를 우리말로 지역사회로 번역하기도 하고 공동체라고도 번역하기도 한다. 지역사회로 번역하는 것이 옳은지, 공동체로 번역하는 게 옳은지를 구분하는 일은 아주 중요하다. 지역사회를 공간적 의미로 이해해야 할지, 기능적 의미로 이해해야 할지를 가르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공간적 의미의 지역사회는 규모와 영역, 조밀도에 따라 근린 지역사회, 대도시 지역사회, 지방 지역사회로 나눌 수 있는 맥락으로 보면 된다. 시군구, 읍면동이 대표적인 지역사회라고 할 수 있다. 반면 기능적 의미의 지역사회 즉, 공동체는 비장소적 의미가 강하며 특정한 신앙, 민족, 종교, 생활양식, 이념, 사회계층, 직업유형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기능적 의미의 지역사회는 전문직 집단, 직장노조집단 등의 이익공동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어느 쪽의 의미의 지역사회가 옳은지는 사실 정답이 없기는 하지만 지역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설로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워렌에 따르면 지역사회의 기능은 생산-분배-소비의 기능, 사회화 기능, 사회통제기능, 사회통합 기능, 상부상조의 기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고 한다.(김남웅, 2xxx)
생산-분배-소비의 기능은 지역사회 주민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며, 분배하고, 소비하는 경제적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은 개별적 욕구 충족 뿐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를 통해서 지역 구성원들이 어느 정도 자립할 수 있는가를 결정짓고 그 속에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어느 정도 제공받을 수 있느냐를 결정하게 된다고 한다. 이는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이 특정한 행…(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