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기능주의 계층이론 (Parsons와 Davis & Moore의 이론을 중심으로) 다운로드
[목차]
1. 구조기능주의 : 논의를 위한 기초개념들
2. 구조기능주의자들의 사회관
1. 사회불평등에 대한 구조기능주의적 접근방법
2. 갈등, 합의 및 사회불평등
3. 구조기능주의에서 권력의 개념
2. 구조기능주의자들의 사회관
◦ 사회라는 유기체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구조에 부응할 수 있도록 적응하고, 사회적 긴장을 해소하고 관리, 사회적 행동을 규제함으로써 사회적 유대를 촉진시키는 통합 등의 기능적 요건을 만족 시켜야함
◦ 사회는 상호 관련된 부분들의 연결체
◦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는 사회의 전체 기능유지에 공헌
◦ 사회의 구성원들은 사회의 결속을 위한 가치규범의 유형, 내용, 합의에 대해 일반적인 동의를 가지고 있음
◦ 현대 사회는 능력본위의 사회(meritocratic society)이며 전문가 지배사회(expert society)임
Ⅲ. 구조기능주의와 사회불평등
1. 사회불평등에 대한 구조기능주의적 접근방법
1) 계층적 전망
◦ 불평등(계층) : 개인들을 등급 지을 수 있는 보편적, 연속적 서열체계 (Barber)
◦ 사람들은 그들이 사회에서 수행하는 여러 가지 지위와 역할들에 입각하여 층화됨
◦ 직업 영역에서 개인이 차지하고 있는 지위와 역할에 초점
◦ 직업 : 일반적인 계층위계와 가장 좋은 단일지표, 사람들이 사회에서 수행하는 “기능적으로 중요한 사회적 역할”, 수입 및 교육과 같이 서열을 결정짓는 다른 많은 토대들과 상호연관성을 가짐
2) 사회적 평판
◦ 사회평가 : 판단들에 의해 사회는 집합체에 대한 어떤 사람의 중요성 혹은 기여에 관계되어 그 사람의 가치를 평가하게 된다. (Parsons)
◦ 위세의 서열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